이벤트
인문학광장
기업교육
인문학당 소개
전체강의
도전! 문사철 100클럽
아트 앤 상상스쿨
사서삼경
사마천의 史記대학
강좌체험관
수강신청
MY 캠퍼스
X
과정소개
소개
특징
과정상세
교육과정
강좌 체험관
교수진 소개
FAQ
지식공유터
수강안내
수강신청
수강혜택
휴넷, 교보문고, 대한민국 대표지성 10분이 함께 선정한 문학, 역사, 철학 100권에 대해
각 분야 전문가들의 강의로 학습하고, 구성원들과 함께 통찰력을 키워가는 프리미엄 멤버쉽입니다.
학습기간: 3년 / 교육비 : 일반회원 60만원, 골드회원 50만원
[사기]
김영수 교수
맛보기
3,000년을 내려온
인간학의 교과서
[맹자]
신정근 교수
맛보기
왕도정치와 성선설을 역설한 인류의 스승
[그리스 로마 신화]
강대진 교수
맛보기
신과 영웅의 大서사시
[서양미술사]
최정은 교수
맛보기
미술사로 배우는 시대별 감성코드
[초한지]
민관동 교수
맛보기
항우와 유방, 두 영우의 패권을 향한 치열한 전투
X
30클럽 가입
30클럽 소개
30클럽 혜택
X
과정소개
소개
특징
과정상세
1년 독파 과정
강좌 체험관
교수진 소개
교재소개
학습가이드
지식공유터
수강안내
수강신청
수강혜택
원문독파 사서삼경은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사서삼경의 핵심 경구만을 골라 원문이 주는 본래의 의미와 숨은 뜻을 1년 안에 독파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온라인/모바일 학습 과정 입니다.
학습기간 : 2년 (학습기간1년 + 복습기간1년) / 교육비 : 골드회원 27만원, 일반회원 30만원
Home
문사철 100클럽
문사철 100클럽 FAQ
문.사.철. 100클럽
아트 앤 상상스쿨
원문독파 사서삼경
분야
강좌 명
교수명
동양문학
(13선)
[삼대] 일제 식민통치하에서 몰락해 가는 삼대(三代)
고명철
[금오신화] 비극의 미학을 그린 최초의 한문 소설
김경미
[수호전]대륙 위에 그려진 108 영웅호협들의 이야기
조관희
[서유기]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
김광일
[삼국지연의] 삶에 대한 철학과 지혜가 담겨 있는 인생의 교과서
민관동
[구운몽] 서포 김만중이 묻는 인생의 가치
설성경
[소동파시선] 하늘이 내린 문장가 소동파가 말하는 삶
류종목
[아Q정전] 중국의 민족혼 루쉰이 말하는 인간본성
홍석표
[홍루몽] 중국인들의 삶과 철학을 담은 사랑이야기
최용철
[두보시선] 질서와 조화를 추구한 시의 성인
이영주
[홍길동전] 역사학자가 바라본 홍길동전 속의 다양한 사회이갸기
신병주
[초한지] 항우와 유방, 두 영웅의 패권을 향한 치열한 전투
민관동
[이백시선] 술과 달을 노래한 시(詩)의 신선
이영주
서양문학
(28선)
[1984] 통제사회의 어두운 그림자
박경서
[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] 죄와 벌, 그리고 구원의 시학
조주관
[데미안] 하나의 세계를 깨고 만나는 새로운 자아
김륜옥
[마의 산] 어느 스위스 요양원에서의 7년간의 기록
김륜옥
[부활]정신적 부활을 통한 진정한 인간성 회복
문석우
[오만과 편견] 절제된 단아함이 돋보이는 수작
고영란
[소리와분노] 소리에 대응하는 인간의 길
이명호
[노인과바다] 불굴의 의지를 지닌 개인의 사투를 담은 걸작
김욱동
[마담 보바리] 걸작이 된 한 여인의 불륜이야기
오영주
[죄와 벌] 범죄의 심리학, 죄란 무엇인가?
조주관
[말테의 수기] 릴케가 그리는 현대인의 자화상, 그리고 고독
김창준
[파우스트] 괴테의 마지막 대작, 그 절정의 인생탐구
오순희
[구토] 존재에 대한 사르트르의 치열한 탐구
이재룡
[적과 흑] 1830년 프랑스, 그 참혹한 욕망의 고리
이경래
[이인]뫼르소, 알베르 카뮈가 그린 보통 이인
이기언
[양철북] '오스카'의 몸에 갇힌 지성의 북소리
김누리
[일리아스] 죽음의 운명을 수용하기 위한 서사시
강대진
[오뒷세이아] 여러 단계의 인간의 마음을 탐색한 서사시
강대진
[모비딕]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
신문수
[신곡] 단테, 신성한 희곡을 통해 르네상스 서막을 열다
한성철
[4대 비극]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
신웅재
[그리스로마신화] 신과 영웅의 大서사시!
강대진
[허클베리핀의모험] 미국사회의 뿌리깊은 인종주의와 인간성에 대한 비판
성경준
[젊은 베르터의 슬픔] 청년 괴테가 말하는 열정과 고통
오순희
[변신] 벌레로 변한 주인공의 정체성 찾기 여정
오순희
[돈키호테] 미쳐서 살았고 정신 들어 죽은 돈키호테가 남기는 메시지
민용태
[백 년 동안의 고독] 남미 혼돈의 역사가 담긴 마술적 사실주의 문학
김현균
[분노의포도] 미국 대공황 시기 소작농들의 삶의 애환과 분노의 숭고환 승화, 사랑의 생명력
이향만
[고리오 영감] 발자크가 말하는 19세기 격변의 프랑스와 인간욕망
송기정
동양역사
(9선)
[전국책]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
임동석
[조선상고사] 한국 민족주의 역사관의 정수
이만열
[동국세시기] 열두 달 세시풍속을 통해 본 우리 문화
정승모
[정관정요] 당태종이 전하는 열린정치와 소통의 리더십
김원중
[사기] 3,000년을 내려온 인간학의 교과서
김영수
[삼국유사]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, 문화가 투영된 역사서
고운기
[백범일지]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
한시준
[열하일기] 실사구시의 새 시대를 노래한 북학파 학자의 중국견문기
신병주
[삼국사기] 중세 유교적 대의명분의 이상을 실현하다
고운기
서양역사
(8선)
[역사서설] 아랍, 이슬람, 문명의 위대한 역사서
노서경
[유토피아] 이상향을 통해 사회의 불편한 진실을 들추다
김대륜
[강대국의 흥망] 강대국들을 통해 알아보는 흥망성쇠의 비밀
김대륜
[근현대사 4부작] 현대 세계정세의 기원을 꿰뚫다
김대륜
[서양미술사] 미술사로 배우는 시대별 감성 코드
최정은
[로마제국 쇠망사] 스러지는 제국의 기록 속에서, 고대와 근대의 유럽을 읽다
김대륜
[사생활의 역사] 개인적인 일상이 역사의 무대에 오르다.
이영림
[나폴레옹] 역사를 삼키고 신화를 만들어낸 리더
이용재
동양철학
(16선)
[묵자] 인류 최초의 민주평화 운동가
기세춘
[삼민주의] 중국 근대 혁명과 건국의 기본 정치 이념
배경한
[손자병법] 시대를 초월한 불패(不敗)의 책략(策略)
노병천
[대학]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
임동석
[중용] 치우침이 없는 평상의 도리를 담은 유교 경전
임동석
[법구경] 2600년을 넘나드는 삶의 의미와 진리에 대한 공감
조은수
[성학십도] 가치혼란의 시대 속에서 인간 본성을 찾다
곽신환
[목민심서] 다산(茶山)의 애민(愛民)사상과 휴머니즘
박석무
[주역] 삶의 실천적 지혜를 강조한 처세서
서대원
[논어]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는 일상의 도리
전호근
[맹자] 왕도정치와 성선설을 역설한 인류의 스승
신정근
[성호사설] 실학파 별들이 노닌 거대한 호수
신병주
[간디자서전] 간디의 진실추구 이야기
박홍규
[노자] 상대 주의와 무위가 빚어내는 자유와 평화의 세상
신정근
[한비자] 한비를 통해서 본 군주론과 권력론
김원중
[장자] 자유롭게 노닐며 절대 자유를 꿈꾸다
신정근
서양철학
(26선)
[감시와 처벌] 권력의 정체에 대한 심층적 분석
김부용
[감시와 처벌] 권력의 정체에 대한 심층적 분석
김부용
[니코마코스 윤리학] 인간은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?
이태수
[리바이어던] 강력한 절대 권력은 어떻게 나오는가?
김형철
[자유론] 자유에 대한 최고의 예찬서
김형철
[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] 전복의 철학자, 니체
이진우
[우신예찬] 현자에게 전하는 어리석은 여신의 진리 예찬
김진성
[통치론] 진정한 자유와 평등이 있는 사회를 꿈꾸다
김비환
[자본(론)] 21세기, 맑스주의의 해석과 재발견
강신준
[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] 베버의 종교여행
이종현
[정신현상학] 정신의 일대기로 보는 세계와 우리 자신의 역사
백종현
[사회계약론] 정의로운 질서를 위한 영감과 통찰
김비환
[명상록] 철인(哲人)황제의 자경문(自警文)
이창우
[미국의민주주의] 이 시대 민주주의를 투영해보다
홍태영
[소유냐존재냐] 소유 지향적 삶에 대한 따끔한 경고
박찬국
[학문의진보]진리에 가까이 가기위한 끝없는 성찰
진석용
[군주론] 르네상스 지식인 마키아벨리의 정치과학
김경희
[국부론] '보이지 않는 손' 속에 감춰진 시대의 통찰
김대륜
[서양철학사] 철학, 지혜에 대한 사랑
김형철
[순수이성비판] 칸트가 말하는 이성과 존재
백종현
[정의론] 롤즈, 현대사회에 정의를 묻다
김형철
[전쟁론] 전쟁의 본질에 대한 진지한 탐구
허남성
[의무론] 키케로, 사회적 실천과 인간의 의무를 말하다
이창우
[플라톤의 국가] 정의란 무엇인가
장영란
[소크라테스의 변론]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
장영란
[꿈의 해석]꿈꾸는 사람의 무의식에 접속하는 충격적인 경험
이창재